전체 글

선한 영향을 주는 개발자, 햅히입니다
· WEB/Next.js
들어가기이번에 P.E.C 캠프 6기로 참여하면서 FSD의 개념을 Next.js와 결합해보는 과정을 진행했었다.P.E.C 캠프 Product Engineer Camp - pec8주동안 진행하는 Camp 를 통해서, 내 주변에 실제 문제를 해결하며 진짜 성장을 경험하세요. 다양한 UX framework 를 활용하여 설계하고, 이를 토대로 AI 와 효율적으로 협업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slashpage.com  흔히 알고 있는 역할 중심의 설계를 벗어자세한 FSD의 개념은 하단 블로그에서 상세하게 소개시켜주고 있기에 여기서는 내가 정립했던 FSD와 Next.js의 개념에 대해서만 다뤄보고자 한다.https://velog.io/@teo/fsd FSD 관점으로 바라보는 코드 경계 찾기이번 글의 주제도 FSD(Fe..
· WEB/Insight
✨  TEOConf2024 스피커로 참여하게 된 이유 지난 feconf에서는 처음 사회에 나온 주니어 개발자들에게 어떤 마인드 셋으로 임해야 하는지, 이상적인 개발 환경이 아닌 곳에서 어려움을 헤쳐 나가고 있는 개발자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기 위해 라이트닝 스피커로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  이번에는 1년 동안 개발을 진행하면서,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어려워지는 순간은 프론트엔드가 서버에 의존적으로 되어서 수정작업을 빠르게 할 수 없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함께 고민하고, 도전해 봤던 기술적인 경험과 인사이트를 다른 개발자분들과 공유하고 싶어, 해피라는 이름으로 '어댑터 아키텍처를 통해 클라이언트 환경 개선하기'라는 주제를 가지고 TEOConf 2024의 스피커로 참여하게 되었다.  ..
· WEB/React
Suspense와 ErrorBoundary에 대해 알아보자React에서 비동기 로딩과 에러 핸들링을 위해 Suspense와 ErrorBoundary는 각각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내용이다.이 글에서는 두 컴포넌트의 개념을 직접 구현해보는 과정을 통해 내부 구조를 이해하며, 최종적으로 두 컴포넌트의 차이점과 활용 방안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들어가기Suspense와 ErrorBoundary는 React에서 각각 비동기 작업의 로딩 상태와 컴포넌트 트리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컴포넌트이다.Suspense: 비동기 로딩 상태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주로 React.lazy와 함께 활용한다. 즉, Suspense는 컴포넌트를 렌더링하기 전에 로딩 중인 컴포넌트 대신 로..
Happhee.dev
Happhee